모든 음식에는 궁합이 있다. 궁합이 맞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우리 몸에 들어가 해로운 작용을 한다. 약도 마찬가지이다.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치료약을 복용하고 있을 때, 같이 먹으면 해롭게 작용하는 음식들이 있다. 각 질환별 복용하는 약과 서로 상극인 음식 10가지를 살펴보자.
결핵약
- 일부 결핵약에는 이소니아지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 성분이 포함된 결핵약이 티라민과 히스타민 분해효소를 만나면 얼굴이 화끈거리거나 두통이 생길 수 있다. 티라민이 많이 들어간 식품은 청어, 치즈, 요구르트, 소나 닭의 간 등이고, 히스타민은 등푸른 생선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고지혈증약
- 자몽주스는 약물 부작용을 가장 많이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몽주스에 함유된 나린긴, 나린게닌 성분때문인데, 이 성분은 약물을 분해하는 간의 효소를 과활성화시켜 독성을 유발한다. 오렌지쥬스에도 나린긴 성분이 들어있다.
※각 주스별 주의해야 할 치료제
자몽주스 - 부정맥치료제, 고지혈증치료제, 항응고제, 혈압강하제
오렌지주스 - 최면진정제, 항히스타민제, 골대사제제
석류주스 - 항경련제, 항응고제
크렌베리주스 - 소화성궤양용제
골다공증약
- 카페인은 신장에서 칼슘을 많이 배설하게 만들어 골다공증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또한 탄산음료는 인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뼈에서 칼슘을 빼내는 역할을 한다. 철분제나 골다공증 치료약을 복용하는 사람은 커피, 콜라, 홍차 등 카페인을 많이 함유한 음료를 피해야 한다.
고혈압약
- 일반적으로 고혈압 환자에게 바나나는 좋은 음식이다. 하지만 이뇨제 성분의 고혈압약을 복용하고 있다면 칼륨이 많이 함유된 바나나, 오렌지, 녹황색 채소를 조심해야 한다. 고혈압약이나 심부전약을 먹으면 핏속의 칼륨 농도가 짙어지는 고칼륨혈증이 발생하는데, 칼륨이 많은 음식을 먹으면 고칼륨혈증이 심해져서 심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변비약
- 변비약은 특성상 약성이 대장, 소장, 직장까지 미쳐야 하기 때문에 위에서 위산에 녹지 않도록 캡슐이 보호막으로 싸여있다. 그런데 우유를 마시면 변비약의 보호막을 손상시켜 위에서 녹게 만들어 버린다. 변비약을 먹을 때는 유제품을 같이 먹지 않는 게 좋다.
제산제
- 제산제에는 알루미늄이 함유되어 있다. 제산제와 함께 오렌지 주스나 기타 과일 주스, 콜라 등을 함께 먹으면 위의 산도가 높아져서 약효가 떨어진다. 오렌지 주스는 제산제의 알루미늄 성분을 체내로 흡수시켜 골연화증이나 치매를 야기할 수 있고, 콜라 등의 탄산성분은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제산제의 제산 능력을 떨어뜨린다.
천식치료제
- 천식 치료제에 들어있는 에페드린 성분과 카페인이 만나면 두통과 현기증을 일으키고 심장에 부담을 준다. 천식 치료제를 복용중이면 커피, 콜라, 홍차 등을 삼가는 게 좋다. 또 천식, 알레르기약을 복용하는 사람이 히스타민 성분이 많은 등푸른 생선을 먹으면 증상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코감기약
- 코감기약에는 염산페닐프로파놀아민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는데, 이 성분이 치즈나 청어, 소나 닭의 간에 함유된 티라민과 만나면 혈압을 급상승시킨다.
항생제
- 항생제는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약으로 폐렴 등 감염 증상이 심할 때 처방된다. 유산균은 건강에 좋은 효과를 주지만, 유산균도 균이기 때문에 항생제가 유산균을 죽이고 유산균이 항생제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특히 트라사이클린 계통의 항생제는 우유와 함께 복용하면 아예 흡수가 안된다. 항생제 치료를 받는 동안에는 유제품 섭취를 삼가야 한다.
항우울제
- 항우울제에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을 활성화시키는 성분이 들어있다. 이런 성분들이 청어, 치즈, 소나 닭의 간에 다량 함유된 티라민 성분을 만나면 혈압을 상승시킨다. 알코올도 항우울제와 만나면 약효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중추신경계를 억제하게 된다.
'- 일상의 의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6월 여행가는 달 정부지원 교통비, 숙박비, 여행비 혜택 안내 (0) | 2022.05.31 |
---|---|
[건강] 비문증의 원인과 증상, 예방에 좋은 음식과 마사지 (0) | 2022.05.27 |
[정보] 법정 휴일의 종류, 현충일은 어떤 공휴일? (0) | 2022.05.27 |
댓글